스플린트(splint)의 원리
출처: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Knirscherschiene.jpg
턱관절 환자는 스플린트를 제작하고 쓰게 됩니다. 저도 턱관절이 안좋아서 써봤는데, 잘 때에만 껴도, 이게 이물감이 커서 잠이 잘 안들고, 매일 씻어야하고, 일정한 주기마다 병원가서 다듬어야 하고, 이게 입안에 있으니 잘 때 나도 모르게 더 꽉 깨무는 것 같고;;;가격이 비싸고...(50~80만원) 등 불편함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과의사 선생님이 끼라고 하면 껴야합니다. 모든 턱관절 환자가 스플린트를 끼는 것은 아니고,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로는 치료가 힘들 때 장치치료를 권하기 때문입니다. 또 장치도 여러개 있어서 턱관절이 치료되는 원리도 다양하지만, 오늘 저는 일반적으로 스플린트라고 하는 교합안정장치의 원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작용 원리는 크게 7가지로 볼 수 있어요.
환자의 기존 교합이 잘못된 비이상적인 교합이라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즉 잘못된 교합으로 턱관절을 사용하니 위해한 힘이 발생해서 질병이 생겼다는 것이죠. 이런 환자가 스플린트를 끼면 이끼리 닿지 않고 벌려져 있으니,그 동안은 턱관절이 쉴 수 있게되어 상처와 피로로부터 안정화되고, 회복할 시간을 갖게 됩니다.
2)상하악 재배열설
1번 교합 이개설과 비슷한 내용입니다. 환자의 교합이 잘못되었고, 올바른 교합으로 유도해서 턱관절의 안정화를 추구합니다. 올바른 교합으로 유도한 후 본을 떠서(impressiong) 장치를 만들어서 환자에게 전달합니다. 본 뜨는 작업이 중요하겠죠?
3)과두위치 변화설
1,2번은 치아가 물리는 방식인 교합에 집중한다면, 3번은 과두 위치에 집중합니다. 과두 위치를 주변조직과 더 조화로운 위치로 이동시켜서 턱관절의 치료를 도모한다는 것입니다.
4)수직고경 증가설
입안에 장치가 들어가면, 아무래도 수직고경이 증가하는데, 그러면 수축되었던 근육이 이완되고, 증상도 완화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수직 교합고경의 변화와 증상 감소간의 관련성은 약한 것 같습니다.
5)인지 자각설
장지장착환자가 기능적,이상기능적행동을 장치장착 전에 비해서 더 잘 인지한다는 것입니다. 장치가 없을 때보다 장치를 착용한 후 이를 앙~다물면 불편하죠. 그래서 잘 안다물고 벌리고 있게되니 턱관절이 쉴 수 있다는 것입니다.
6)위약 효과설
장치를 꼈으니, 조금이라도 효과가 있겠지 하고 생각하는 힘이 치료효과를 높이는 것을 말합니다.
4)수직고경 증가설
입안에 장치가 들어가면, 아무래도 수직고경이 증가하는데, 그러면 수축되었던 근육이 이완되고, 증상도 완화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수직 교합고경의 변화와 증상 감소간의 관련성은 약한 것 같습니다.
5)인지 자각설
장지장착환자가 기능적,이상기능적행동을 장치장착 전에 비해서 더 잘 인지한다는 것입니다. 장치가 없을 때보다 장치를 착용한 후 이를 앙~다물면 불편하죠. 그래서 잘 안다물고 벌리고 있게되니 턱관절이 쉴 수 있다는 것입니다.
6)위약 효과설
장치를 꼈으니, 조금이라도 효과가 있겠지 하고 생각하는 힘이 치료효과를 높이는 것을 말합니다.
‘비싼장치이기 때문에 효과있을 거에요’라고 해 치료법이 효과있음을 환자에게 설명하면 위약 효과는 더 강할 것입니다.
7)중추 신경계에 대한 말초자극 영향설
잘 때 습관적으로 이를 꽉 깨물거나, 이를 으드득 가는 버릇은 바로 중추신경계에서 유래된다고 합니다. 만약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말초자극이 변화되고 이 변화가 중추신경에 영향을 끼져 중추신경계에서 유래된 이갈이의 빈도 감소한다는 이론입니다. 하지만 단기간 근활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에 비해 장기간의 효과는 떨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7)중추 신경계에 대한 말초자극 영향설
잘 때 습관적으로 이를 꽉 깨물거나, 이를 으드득 가는 버릇은 바로 중추신경계에서 유래된다고 합니다. 만약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말초자극이 변화되고 이 변화가 중추신경에 영향을 끼져 중추신경계에서 유래된 이갈이의 빈도 감소한다는 이론입니다. 하지만 단기간 근활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에 비해 장기간의 효과는 떨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출처 : 구강안면통증과 측두하악장애 4판
*구강 내과 다른 글 링크*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