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0월 13일 금요일

입안에 뭐가 났어요 - 4.구강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의 진단기준과 치료법

입안에 뭐가 났어요

4.구강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의 

진단기준과 치료법


캔디다는 만성일 때 잘 알아볼 수 있는데요. 다른 이름으로는 아구창이라고 합니다. 주로 노인이나 어린 아기 등 면역력이 많이 떨어져 곰팡이 균이 잘 번식 할 수 있는 환자에게 호발합니다. 

칸디다균(C.albicans) 감염의 임상 형태의 하나로 주변이 빨갛고 안이 하얀 판이나 물집으로 구성되어있고, 상피층이 두껍게 각화가 되어 거기에 진균들이 많이 서식하게 됩니다. 호발부위는아래 사진처럼 입천정, 볼점막, 혀 등입니다.

구강 칸디다증
입천정에 칸디다가 생긴 모습입니다.

구강 칸디다증
 볼점막에 칸디다가 생긴 모습입니다.

구강 칸디다증
혀에 아구창이 생긴 모습입니다.



(1) 원인

  ① candida albicans infection

  ② 구강 내 길항 microflora의 비율 변화, 감소, 조직의 저항성 감소 : 

원래 구강 내에는 항문보다도 더 많은 세균이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도 평소에 다른 문제가 없는 것은 이 세균들 중 대부분이 무해한 세균이고 서로 균형을 잘 이루어서 숙주인 인간과 평형상태를 이루어 잘 지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만약 이 균형과 평형이 깨진다면 문제가 생기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이 침범할 수 있게 됩니다.

(2) 진단의 point

 ① 전신질환의 보유 유무, 약물치료 유무, 영유야, 노인, 임산부, 틀니 장착자

 ② 백태의 갑작스런 출현 : 서로 유합하여 신속하게 확대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③ 백태는 쉽게 박리되며, 주위가 심하게 발적됩니다.

 ④ 세균학적, 병리조직학적, 면역혈청학적 검사


(3) 치료법


구강 내 위생을 청결히 하고, 틀니를 끼신다면 틀니 세척도 잘해주고 밤에는 빼고 주무셔야 합니다.


아기에게 생겼다면 아기에게 우유나 이유식을 주는 모든 기구들 소독을 철저히 하고 식사 후 양치질이나 입 헹구기등을 철저히 시행합니다.


약물 치료로는 스테로이드를 복용하거나 가글약으로 사용합니다.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